명목 GDP 실질 GDP 물가상승률
GDP, 국내총생산은 한 국가의 경제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척도입니다. GDP는 한 국가 내에서 생산된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의 총합입니다. GDP를 계산하는 방법에는 명목과 실질의 두 가지가 있습니다. 명목 GDP 실질 GDP 차이, 실질 GDP 계산 경제성장률, 명목GDP, 실질 GDP 계산, GDP 디플레이터 계산법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명목 GDP 란?
명목 GDP는 현재 시장 가격을 사용해서 한 국가의 국경 내에서 생산된 상품과 서비스의 총 가치를 측정합니다. 즉, 명목 GDP는 인플레이션에 대해 조정되지 않아서 물가가 오르면 상승합니다.
예를 들어, 한 국가의 명목 GDP가 다음 해 5% 증가했다면 생산된 상품과 서비스의 총 가치도 5% 증가했다는 것인데요. 하지만 이런 증가는 생산된 상품과 서비스의 양이 증가한 것이 아니라 단지 물가가 5% 상승한 결과일 수 있습니다.
또 미국 이외의 명목 GDP는 달러 환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달러에 대한 원화 환율이 크게 오른다면 원화 명목 GDP를 달러로 환산했을 때는 급감하게 됩니다.
실질 GDP 란?
실질 GDP는 인플레이션을 조정한 GDP입니다. 이는 시간 경과에 따른 물가 수준의 변화를 고려하여 한 국가의 경제 성장에 대한 보다 정확한 수치를 제공합니다. 실질 GDP는 기준연도의 물가를 기준으로 사용하여 명목 GDP를 조정합니다.
예를 들어, 한 국가의 명목 GDP가 다음 해 5% 증가했지만 인플레이션이 3%였다면 실질 GDP 성장률은 2%가 됩니다. 즉 명목 GDP를 인플레이션에 맞게 조정함으로써 실질 GDP는 가격 변동이 아닌 생산된 상품과 서비스의 총량 변화를 반영합니다.
명목 GDP 실질 GDP 차이
명목 GDP와 실질 GDP의 차이점은 물가 상승에 대한 반영 여부입니다. 명목 GDP는 현재 시장가격으로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계산한 금액을 말하며, 실질 GDP는 주어진 기준년도의 시장가격으로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계산한 금액입니다. 대체적으로 물가는 상승하므로 명목 GDP가 실질 GDP보다 큽니다.
명목 GDP는 현재 시장에서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한 가치의 총합을 나타내며, 물가 상승,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받습니다. 즉, 시장에서의 가격 변동이 반영되므로, 해당 연도에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를 현재 시장가격으로 계산합니다.
반면에, 실질 GDP는 물가 상승분을 제외하고 재화와 서비스의 실제 생산량을 반영합니다. 즉, 시간에 따라 물가 상승이나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제거하고, 생산량 자체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질 GDP는 경제 활동이 실제로 증가했는지, 감소했는지를 파악하는 데 더 적합한 지표입니다.
⭐ 경제 성장을 판단하려면 실질 GDP가 더 적합하며, 국가 경제 규모를 보기에는 명목 GDP가 적합합니다.
실질 GDP 계산 경제성장률
명목성장률 실질성장률
실질 GDP는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고려하기 때문에 명목 GDP보다 한 국가의 경제 성장을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경제성장률을 계산하려면 실질 GDP로 계산해야 합니다.
실질GDP 증가율 계산 방법
✅ 경제성장률 = {(금년도 실질 GDP – 전년도 실질 GDP) ÷ 전년도 실질 GDP} × 100
경제성장률이 높을수록 그 나라의 실질 생산력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명목 gdp 실질 gdp 물가상승률
명목 GDP는 국내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현재 가치를 측정하지만 인플레이션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 성장의 부정확한 척도가 될 수 있습니다. 즉 물가가 상승하면 명목성장률이 증가할 수 있지만, 이러한 증가는 상품 및 서비스 생산의 실제 증가를 반영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실질 GDP는 가격 변화가 아닌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수량 변화를 측정하기 때문에 시간 경과에 따른 실질성장률을 알 수 있습니다.
명목 GDP와 실질 GDP의 차이를 이해하면 경제 상황을 더 잘 이해하고 투자 및 정책에 대해 더 많은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 참고 : 명목gdp 실질gdp 영어로
명목 GDP = nominal GDP
실질 GDP = real GDP
명목GDP, 실질 GDP 계산
- 올해 명목 GDP를 계산하려면 올해 생산량에 올해의 시장 가격을 곱하여 산출합니다.
- 올해 실질 GDP를 계산하려면 올해 생산량에 기준 연도 가격(2015년)을 곱해서 산출합니다.
한국의 실질 GDP 규모는 2022년에 약 1,965조 원 정도 입니다. 이를 1인당 gdp 금액으로 계산하면 약 3,806만 원에 입니다. 1인당 소득보다 1인당 GDP가 훨씬 더 높은 이유는 GDP에는 감가상각, 법인세와 간접세, 기업이윤 등이 모두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GDP 디플레이터
명목GDP와 실질GDP의 차이는 물가 지수이기 때문에 명목GDP와 실질GDP 수치를 이용해서 물가지수를 측정한 지표가 GDP디플레이터(GDP deflator)입니다.
GDP 디플레이터 = (명목 GDP ÷ 실질 GDP) X 100
지금까지 명목 GDP 실질 GDP 차이, 실질 GDP 계산 경제성장률, 명목GDP, 실질 GDP 계산, GDP 디플레이터 계산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GDP 뜻, 계산법 GDP와 GNP차이에 대해서는 다음 글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