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종합지수 보는법 (경기선행지수 동행지수 후행지수) 구성지표

경기종합지수는 경제 활동의 변화를 추적하고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여러 구성 지표들이 합쳐져 경기종합지수를 이루며, 이를 통해 경제의 상황을 평가하고 미래 경기를 예측합니다. 경기종합지수 보는법과 경기종합지수를 구성하는 경기선행지수, 경기동행지수, 경기후행지수와 각각의 구성지표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경기종합지수-보는법-구성지표-선행-동행-후행
경기종합지수-보는법-구성지표-선행-동행-후행

경기종합지수 뜻

경기종합지수는 상승과 하락 등 경기가 변동하는 전환점과 방향, 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경기종합지수는 고용·생산·소비·투자·대외·금융 등의 지표들을 이용해서 매월 발표됩니다. 경기종합지수 보는법은 경기종합지수가 전월에 비해서 ‘+’인 경우에는 경기가 상승함을 뜻하며 ‘-‘인 경우에는 경기 하강을 나타냅니다.

경기종합지수(Composite Index, CI)는 크게 다음 세 가지로 나뉩니다.

  • 경기선행지수(Composite Leading Index, CLI)
  • 경기동행지수(Coincident Composite Index, CCI)
  • 경기후행지수(Lagging Composite Index, LCI)

경기종합지수 보는법

경기종합지수는 기준연도를 100으로 놓고 100보다 숫자가 크면 경기가 좋다는 의미이며 100보다 작으면 경기가 나쁘다는 의미입니다. 특시 경기선행지수가 지난달보다 올라가면 경기 상승, 내려가면 경기 하강을 뜻합니다.

현재의 경기를 파악할 때는 주로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를 이용하여 판단합니다. 이 지표가 2분기 이상 상승하면 경기 확장기, 하강하면 경기 수축기로 간주합니다. 또한 가장 높을 때를 경기 정점, 가장 낮을 때를 경기 저점으로 판단합니다.

경기선행지수 뜻 구성지표

경기종합지수 중 경기선행지수(Composite Leading Index, CLI)는 특정 경제 지표들의 움직임을 따라 경제 활동의 추세를 예측하는 지표입니다. 경기선행지수는 경제활동순환의 선행지표로서, 경제가 현재 어떠한 상황에 있고 6개월 후에는 어떤 추세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경기선행지수는 정부나 기업 등에서 경제 예측을 위해 자주 사용됩니다. 경기선행지수를 바탕으로 경제 활동의 추세를 파악하고 대응하는 것은 경제 안정성을 유지하고 경제 발전을 이루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경기종합지수 중 경기선행지수는 주가지수 코스피, 건설수주액, 재고순환지표 등과 같이 앞으로 일어날 경제 상황을 미리 알려주는 7개 지표들을 종합하여 작성합니다.

재고순환지표를 볼 때 상품출하량 증가율이 재고량 증가율보다 많아지면 앞으로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또 코스피 지수가 상승하고 건설 수주액이 증가하면 경기가 상승할 것을 미리 알 수 있습니다.

경기종합지수 구성지표 출처 : 2019년 제10차 경기종합지수 개편 통계청 보도자료

경기선행지수 구성지표 7개

경제부문 지 표 명 내 용 작성기관
생 산 재고순환지표 생산자제품제조업출하 전년동월비
– 생산자제품제조업재고 전년동월비
통 계 청
생산‧소비 경제심리지수 BSI(32개), CSI(17개) 중 경기대응성이
높은 7개 항목의 가중평균
한국은행
투 자 기계류내수출하지수 설비용기계류에 해당하는 69개품목(선박제외) 통 계 청
건설수주액(실질) 종합건설업체의 국내건설공사 수주액 통 계 청
대 외 수출입물가비율 수출물가지수÷수입물가지수×100 한국은행
금 융 코스피 월평균 한국거래소
장단기금리차 국고채유통수익률(5년,월평균)
-무담보콜금리(1일물,중개거래,월평균)
한국은행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선행지수에서 계절적 요인, 불규칙한 변동 등의 추세 변동분을 제거한 지표입니다.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 바로보기

경기동행지수 뜻 구성지표

경기동행지수(Coincident Composite Index, CCI)는 현재의 경기를 보여주는 수치입니다. 현재의 고용, 소비, 생산, 서비스업 등의 지표들을 통해서 현재 경제의 움직임을 나타냅니다.

경기동행지수는 기준연도를 100으로 두고 현재 지표가 얼마나 올랐나 내렸나를 따집니다. 경기동행지수를 더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순환변동치를 이용합니다.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동행지수에서 추세변동분을 제거한 지표입니다.

경기동행지수 구성지표 7개

경제부문 지 표 명 내 용 작성기관
고 용 비농림어업취업자수 취업자수-농림어업취업자수 통 계 청
생 산 광공업생산지수 광업,제조업,전기·가스업(대표품목485개) 통 계 청
서비스업생산지수 도소매업 제외 통 계 청
소 비 소매판매액지수 소매업, 자동차판매 중 승용차 통 계 청
내수출하지수 광업,제조업,전기·가스업(내수용) 통 계 청
투 자 건설기성액(실질) 건설업체에서 시공한 공사액 통 계 청
대 외 수입액(실질) 수입액(CIF)÷수입물가지수 관 세 청

🚩한국은행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 보기

경기후행지수 뜻 구성지표

경기후행지수(Lagging Composite Index, LCI)는 경기의 변동을 사후에 확인하는 지표입니다. 생산자제품재고지수, 소비자 물가지수 등과 같은 5개 지표로 구성됩니다.

경기후행지수 구성지표 5개

경제부문 지 표 명 내 용 작성기관
고 용 취업자수 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자수 통 계 청
생 산 생산자제품재고지수 광업․제조업(대표품목 417개) 통 계 청
소 비 소비자물가지수변화율(서비스) 서비스 152개 품목 물가지수의 전년동월대비 변화율 통 계 청
대 외 소비재수입액(실질) 소비재수입액÷소비재수입물가지수 관 세 청
금 융 CP유통수익률 CP(Commercial Paper) 91일물의 단순평균수익률 금융투자협회

🚩e-나라지표 한국 경기종합지수 바로가기

경기종합지수의 활용

경기종합지수는 지수의 변동 방향에 따라서 경기가 어떤 방향으로 가는지 알 수 있고, 지수의 변동 폭에 따라서 경기 변동의 크기를 알 수 있기 때문에 경기 흐름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데 매우 유용합니다.

경기선행지수는 가까운 장래의 경기 동향을 예측하는 데 활용되며, 경기동행지수는 현재의 경기상태를 판단하는 데 이용되고, 경기후행지수는 경기변동을 사후에 확인하는 데 활용됩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경기종합지수 보는법, 경기종합지수를 구성하는 경기선행지수, 경기동행지수, 경기후행지수와 각각의 구성지표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

글 공유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